티스토리 뷰
목차
오늘은 2025년부터 인상되는 기초생활수급자 생계급여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특히 5월 20일 지급되는 정부 지원금에 대한 내용과 인당 최대 76만 원, 2인 가구 최대 125만 원 지급과 관련된 정확한 기준과 신청 방법 등을 다루겠습니다.
2025년 생계급여 이렇게 인상됩니다
보건복지부는 2025년부터 기초생활 수급자에 대한 생계급여 금액을 대폭 인상했습니다.
가구원 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변경되었으며, 이는 기준 중위소득 인상에 따라 적용된 수치입니다.
기준 중위소득 인상 내역 (2024 → 2025년)
1인가구: 2,228,445원 → 2,392,130원
2인가구: 3,682,609원 → 3,932,658원
3인가구: 4,717,657원 → 5,025,353원
4인가구: 5,729,913원 → 6,097,773원
5인가구: 6,695,735원 → 7,108,192원
생계급여 선정 기준 비율 (2025년)
중앙생활보장위원회가 확정한 급여별 선정 기준은 기준 중위소득의 일정 비율로 적용됩니다.
생계급여: 기준 중위소득의 32% 이하
의료급여: 기준 중위소득의 40% 이하
주거급여: 기준 중위소득의 48% 이하
교육급여: 기준 중위소득의 50% 이하
생계급여 인상 금액 (2025년)
1인 가구: 710,000원 → 765,444원
2인 가구: 1,170,000원 → 1,258,451원
3인 가구: 1,500,000원 → 1,608,113원
4인 가구: 1,830,000원 → 1,951,287원
5인 가구: 2,140,000원 → 2,274,621원
6인 가구: 2,430,000원 → 2,587,380원
실제 지급 금액 계산법
실제 지급되는 생계급여는 선정 기준 금액에서 본인의 소득 인정액을 뺀 금액입니다.
예를 들어,
- 1인 가구 생계급여 기준이 76만 원이고,
- 본인의 월 소득이 50만 원이라면,
- 76만 원 - 50만 원 = 26만 원이 지급됩니다.
즉, 소득이 0원인 경우에는 전액을 받게 됩니다.
신청 방법
신청 장소: 거주지 읍·면·동 주민센터
신청 시기: 상시 신청 가능 (5월 20일 지급 대상자 사전 접수 완료자)
제출 서류: 신분증, 소득 및 재산 관련 서류 등
※ 지자체별 상이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사전 문의 바랍니다.
마무리
2025년부터 인상된 생계급여로 인해 많은 저소득 가구가 실질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1인 가구는 최대 76만 원, 2인 가구는 최대 125만 원까지 지급되니, 조건에 해당된다면 꼭 신청해 보시기 바랍니다.
'정부지원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차 유류세 환급제도, 연 최대 30만원 돌려받는 꿀팁! (0) | 2025.05.13 |
---|---|
2025년 전세대출 이자지원 프로그램 완전 정리! (0) | 2025.04.06 |
매출 1억 이하 소상공인이라면 꼭 알아야 할 2025년 희망회복자금 핵심정보 (0) | 2025.03.22 |
전세사기 피해자 지원금 ‘최대 1억 보전’ 가능, 신청 가능한 조건은? (0) | 2025.03.22 |
2025년 민생회복지원금 신청 방법 & 지급 일정 확인하세요! (0) | 2025.03.21 |